본문 바로가기
This and That/Tip

2024년 LH 임대주택 수선비 부담 및 원상복구 기준(공공임대, 국민임대, 영구임대, 매입임대, 공공지원민간임대 등)

by Goooodlife 2024. 7. 21.
반응형

안녕하세요, 여러분! 오늘은 LH에서 제공하는 2024년 공공임대, 국민임대, 영구임대 퇴거 원상복구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.

이 자료는 임대주택에 살다가 퇴거할 때 필요한 원상복구 비용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어요. 주거공간별로 어떤 항목들이 있고, 각각의 비용이 얼마인지 꼼꼼하게 정리되어 있답니다.

※ 파일은 '23년이라고 적혀있지만, '24년 중반부터 '25년 중반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:)

주요 공간별로 나눠서 살펴보면:

- 욕실: 출입문짝, 도어록, 걸대, 비누대, 수건걸이 등의 항목이 있어요.

- 거실 및 침실: 출입문짝, 도어록, 장판, 도배, 콘센트, 스위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
- 주방: 렌지후드, 싱크수전, 상부장, 하부장 등의 항목이 있어요.

- 현관: 현관문짝, 도어체크, 도어스토퍼 등이 있네요.

- 발코니: 발코니등, 타일, 도장 작업 비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

또한 소모성 물품들(열쇠, 출입카드, 음식물카드 등)의 비용도 따로 정리되어 있어요.

 

퇴거세대 원상복구비 표준단가표(2023)(정정).pdf
3.63MB

 

 

이 자료를 보면 임대주택에 살면서 어떤 부분들을 조심히 사용해야 할지, 그리고 퇴거 시 어떤 비용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 미리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아요.

임대주택에 사시는 분들이나 입주 예정이신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네요. 꼭 참고해보세요!

반응형

댓글